[소지형 기자] 한국의 국가청렴도가 100점 만점에 59점을 받아 세계 180국 가운데 39위를 기록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36개 회원국 중에서는 27위로, 지난해보다 세 계단 올랐지만 여전히 하위권에 머물렀다.

국제투명성기구(TI)의 한국본부인 한국투명성기구는 23일 서울 중구 프란치스코회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19년 국가별 부패인식지수(CPI)'를 발표했다.

▲ 2019 부패인식지수[한국투명성기구 제공]

평가대상 중 공동 1위는 덴마크와 뉴질랜드(87점)가 차지했다. 이어 핀란드(86점), 싱가포르·스웨덴·스위스(85점)가 뒤를 이었다.

아시아에서는 싱가포르(85점), 홍콩(76점), 일본(73점)이 지속적으로 좋은 평가를 받았다.

지난해에 이어 소말리아는 9점으로 최하위를 기록했다. 남수단(12점·179위)과 시리아(13점·178위) 역시 하위권이었고, 북한은 17점으로 172위에 머물렀다.

국가청렴도를 가늠하는 부패인식지수는 공공부문의 부패에 대한 전문가 인식을 100점 만점으로 환산한 지표다. 70점대는 '사회가 전반적으로 투명한 상태'로 평가하며, 50점대는 '절대부패로부터 벗어난 정도'로 해석된다.

베텔스만 재단, 세계경제포럼, 정치경제위험자문공사, 정치위험서비스그룹 등 9개의 세계적 기관에서 산출한 원천자료를 바탕으로 국제투명성기구가 부패인식지수 점수를 계산한다.

2019년 한국의 부패인식지수 점수 산출에 활용된 원천자료는 10개로, 이 중 정부의 부패 억제 기능(TI)이 2018년 53점에서 60.8점으로, 뇌물 등 기업활동과 관련한 일선 부패 관행(IMD)이 50점에서 55점으로 올라 많이 개선된 것으로 평가됐다. 2012년 이후 전혀 변화가 없던 정치시스템 내부 부패지수(PRS)도 50점에서 54.2점으로 상승했다.

▲ OECD 평균과 한국의 부패인식지수 점수 비교[한국투명성기구 제공]

다만 PRS를 비롯해 전반적인 부패수준(PERC), 그리고 공공자원 관리에서의 뇌물 관행(EIU) 등의 수치는 OECD 평균과 비교해 각각 17.67점, 13.91점, 12.62점으로 여전히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투명성기구는 "최근 몇 년간 점수와 순위가 빠르게 오르며 '청렴선진국'으로 가는 분명한 전환점이 만들어졌다"면서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반부패정책을 추진해 청렴선진국으로 도약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 독립적 반부패기관으로서 국민권익위원회 역할 강화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 ▲ 재벌과 고위층 부패에 대한 엄격한 처벌 ▲ 공익신고자 보호확대 등을 촉구했다.

저작권자 © 뉴스파인더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